이사장·단장 등 임원 겸직활동 잦고 장비가동율 낮아

첨단의료산업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된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오송재단)의 운영상의 문제점 외에 재단관리자의 근무행태에 대한 문제점이 추가로 제기됐다.

본보는 지난 10일자에 복건복지부, 감사원 등의 국정감사자료를 바탕으로, 경쟁관계에 있는 대구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과 각종 성과 데이터 자료를 근거로 오송재단의 운영상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국정감사자료에 따르면 대구재단은 장비수수료가 2014년 6천700만원, 2015년 3억9천300만원, 지난해 17억7천400만원인 반면, 오송은 1천500만원, 2억1천800만원, 5억7천900만원으로 3배 이상 낮았다.

장비가동률도 대구 45.1%, 오송 41.9%로 3.2%P 낮았다. 반면 연구원 등 인력은 대구 196명, 오송 191명으로 비슷했다.

장비 수수료와 장비가동률이 낮다는 것은 재단 설립의 목적인 바이오·의약품과 의료기기 업체의 연구개발(R&D)을 제대로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본보가 입수한 오송재단의 운영상의 문제점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대구, 오송재단 이사장, 본부장(단장), 센터장 등의 2015~2016년 겸직활동 내역을 보면 대구는 총 121건(이사장 19건, 본부장 13건, 센터장 89건)인 반면 오송은 총 240건(이사장 60건, 본부장 82건, 센터장 98건)에 달했다.

여기서 말하는 겸직활동은 주로 외부 강의나 강연을 뜻하는데, 오송이사장은 강의를 통해 2천199만원의 개인 수입을 올렸다. 본부장도 2천500여만원에 달한다.

문제는 이러한 겸직활동이 오송재단의 자립화나 발전방안 등을 홍보하거나 연구하는 내용이 아닌 극히 개인적인 활동이라는 게 국정감사자료에서 지적하고 있다.

이사장의 잦은 국외출장도 도마 위에 올랐다.

대구의 경우 2015년부터 이듬해까지 5회(출장비용 3천500여만 원)에 불과했지만 오송은 무려 12회(6천400여만원)에 달했다.

재단 예산 확보 등 정작 심혈을 기울여야 할 부분에 대해서도 오송재단은 적극적이지 않았다.

오송이사장은 2015년부터 지난해 1월까지 국회 12회 방문, 정부부처 7회 방문에 그친 반면 대구이사장은 국회 16회, 정부부처 10회를 방문해 대조를 보였다.

2015년 경영평가에서 오송, 대구 모두 B등급을 받았음에도 두 재단의 임원들의 사뭇 다른 처신도 입방아에 올랐다.

대구는 성과금을 예산절감차원에서 임원 36→24%로 감축해 4천만원을, 직원은 월봉의 약 50%가량인 1억7천500만원을 각각 지급한 반면 오송은 절감없이 임원은 기준연봉의 36%인 6천200만원을, 직원 1억9천600여만원을 지급했다.

이에 대해 오송재단측은 "오송재단의 장비가동률은 올 들어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대구의 성과를 넘어섰다. 매년 이뤄지는 공공기관평가에서도 개량평가에서 대구는 항상 D등급이지만 우리는 A등급이었다. 복지부 산하 13개 기관에서 항상 탑이다. 대구와 비교할 수 없는 성과를 내고 있다"며 "분명한 것은 우리가 잘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렇다고 대구와 한식구인데, 국가산업을 함께 끌고 가는데, 비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 그동안 자체적인 발표를 하지 않았다. 앞으로 충북경제 4%성장을 오송(재단)이 주도적으로 끌고 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해명했다.

임원들의 겸직활동과 잦은 해외출장 등에 대해서도 "매년 이뤄지는 복지부 정기감사에서 정상적인 기관장 활동으로 인정받은 부분"이라며 아무런 문제가 없음을 시사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