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식의 ‘톡톡 튀는 청주史’

물가의 비옥한 땅은 사람을 모으고

산을 내려서면 사람들의 터전이다. 전국의 지명 중 많은 것 중 하나가 수락동이다. 한자 표기가 여럿이나 물가에 자리 잡은 공통점이 있다. 사람 사는 곳과 물은 불가분의 관계였다. 우리 지역에는 미원면과 옥산면에 수락동이 있다. 미원면 가양리 수락동은 경주이씨의 보금자리다.

아우내가 흐르는 옥산면 수락리는 문화류씨의 터전이다. 지명이 말해주듯 살기 좋은 이곳에 일찍부터 유력 가문이 자리 잡았다. 거기에 문화류씨의 입향조인 류소柳沼의 묘소가 있다. 류소는 (구)안동김씨 김사렴의 형인 김사겸의 딸에게 장가들며 우리 지역과 인연을 맺었다. 관직에서 물러나 처가인 이곳에 들어와 만년을 보내고, 사후 이곳에 묻혔다.
 

땅이름 만큼 살기좋았던 이곳 수락동에 문화류씨의 입향조 류소의 묘소가 있다.

정순만을 아시나요

아우내는 제법 커다란 물길을 이루며 흘러 주변 많은 농토에 물을 댄다. 그 물길에 의지하여 일찍부터 사람이 모여들기 시작했다. 옥산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경부고속도로를 넘으면 덕촌리에 이른다. 여느 마을처럼 터 잡은 주인을 알리듯 정려가 있다.

하동정씨 충렬문. 충주지씨 열녀각이라고도 한다. 정면을 바라보는 안쪽의 현판은 열부烈婦 정검鄭儉의 부인 충주지씨, 다른 한쪽에 절의節義 하동정씨의 문이란다. 임진왜란 때 순절한 정검과 남편의 뒤를 따라 절의를 지킨 부인의 정려이다. 정려의 주인공 묘소는 옥산중학교 뒤편에 있다.
 

옥산면 덕촌리 마을 입구에 있는 하동정씨 부사직공파 세천비와 충렬문. 마을 안쪽에 들어서면 문절영당文節影堂이 있다.
정수충 초상 및 중모기重模記를 모신 문절영당이다.

해발 150m의 산자락을 끼고 마을은 삼태기 모양으로 들어섰다. 안쪽에 들어서면 서쪽을 향한 옛 사당이 보인다. 역사 오랜 마을마다 가문의 현달한 인물을 내세웠으니, 정수충鄭守忠, 1401~1469 사당이다. 그는 세조의 즉위를 도와 좌익공신佐翼功臣 3등에 올랐다. 정수충의 영정을 보관한 사당으로 그의 시호를 따 문절영당文節影堂이라 부른다. 그의 초상과 그린 내력을 적은 글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59호). 정수충의 손자, 정광업鄭光業이 이곳으로 옮겨온 후 세거하기 시작하였다.

한편 하동정씨의 인물로 널리 알려지지 않은 정순만鄭淳萬, 1876~1911이란 이가 있다. 흔히 이승만·박용만朴容萬과 함께 독립운동의 3만萬이라 불린다. 얼마 전까지 단지 충북 청원 출신으로만 알려져 왔다. 일찍이 독립협회 창립에 관여하였고, 고향에 덕신학교를 세워 인재 양성에도 힘썼던 그였다. 또한 상동청년회의 주도적인 역할도 빼놓을 수 없다. 1906년 만주로 망명하여 이상설 등과 독립군을 양성하였다. 1907년 신민회新民會를 조직하였고, 1908년 이후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서 민족계몽과 독립운동에 주력하였다. 무엇보다 이듬해 안중근 의거를 주도한 사실이 눈에 띈다.

그러나 1910년 양성춘을 권총으로 쏴 죽여 구속되면서 그의 꿈은 좌절되고 만다. 이듬해 1년여의 옥고를 마치고 재기를 꿈꿨으나 그해 6월 양성춘의 일족에게 암살당하고 말았다. 독립운동사의 족적이 적지 않음에도 그의 기록이 많지 않은 것은 비극적인 죽음과 관련 있다. 1910년 전후 연해주 한인 사회의 갈등은 그에 대한 평가마저 제대로 남기지 못한 것이다. 따라서 그의 자취는 사진 한 장 남지 않을 정도로 미미하다. 그나마 2015년 4월 기념사업회를 창립하고, 제대로 된 연구서 한 권이 비로소 세상에 나오며 이제 첫 걸음을 뗀셈이다.

옥산과 오송은 밀양박씨의 터전

옥산과 오송 일대에 널리 터 잡은 성씨는 밀양박씨이다. 먼저 이야기한 정순만의 어머니가 밀양박씨이니 같은 지역에 세거한 두 문중의 만남은 자연스럽다.

밀양박씨의 대표적인 인물은 박훈朴薰, 1484~1540이다. 박중손의 아들 박미朴楣는 여섯 아들을 두었는데, 그 중 두 형제의 후손이 청주에 자리 잡았다. 셋째 박증영朴增榮과 박훈 부자는 『눌재강수유고』라는 문집을 남겼다. 그걸 찍었던 판목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전한다(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77호). 부자의 학문적 위상과 문중 내의 위치를 짐작할 수 있다.
 

박훈 신도비(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81호)는 1748년(영조 24)에 세웠다. 비문은 박필주朴弼周가 짓고 윤득화尹得和가 썼다. 제액은 유척기兪拓基가 썼고, 뒷면엔 성운成運이 지은 글을 새겼다.
신도비를 지나 작은 고개를 넘기 직전 오른쪽으로 오르면 박훈 묘소가 있다. 1536년(중종 31) 외가인 청주에 낙향하여 1540년 이곳에 묻혔다.

신촌리 공효묘와 고인돌을 지나 들어서면 바로 박훈의 신도비가 있다. 신도비는 1748년(영조 24)에 세웠다. 신도비는 묘소 입구에 세우니, 근처에 주인공의 묘가 있을 것이다. 박훈은 중종 때 현량과에 급제하여 기묘사화(1519) 때화를 당해 무려 15년간 유배에 처해졌다. 중종 말년 풀려나 외가인 오송읍 연제리에서 만년을 보냈다. 오송 연제리를 모가울이라 하여, 밀양박씨 후손들을 모가울 박씨라 한다. 그곳에 세거했던 박씨들의 연원을 그렇게 기억하고 있다. 박훈은 신항서원 건립 때부터 배향된 청주의 대표적인 사람이었다.

박훈 묘 아래쪽에는 밀양박씨의 재실인 수천암水泉庵(문화재자료 제68호)이 있다. 원래 사찰로 쓰던 건물을 조선 후기에 고쳐 지으며 오늘에 이른다. 사찰이었던 사실은 수천암 서쪽 언덕에 있는 승탑이 그것을 말해 준다.

 

밀양박씨 문도공파의 재실, 수천암은 옛 절터가 있던 곳이었으나 1540년(중종 35) 박훈의 묘소를 조성하면서 재실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상량문을 통해 1914년 크게 중수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