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이 '의료후진道'의 오명을 벗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가 상급종합병원 지정신청을 마감한 결과 충북에서는 단 한 곳도 신규 신청을 하지 않았다.

도내에서 신청한 병원은 기존 상급종합병원이었던 충북대학교병원이 유일했다. 이로써 전국에서 상급종합병원이 1곳뿐인 도는 올해도 강원도와 충북뿐이다.

상급종합병원의 부족은 감염관리 능력과 의료 서비스 질 저하로 연결된다. 의료취약지역이 많은 충북으로서는 아쉬운 결과다.

지난 6월 충주시에서 망상장애자가 휘두른 흉기에 다쳐 숨진 인터넷 설치기사 A(53)씨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흉기에 다친 A씨는 충주에서 가장 큰 건국대학교 충주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응급 처치할 의사가 없어 헬기를 이용해 강원도 원주로 이송 중 숨졌다.

이후 이언구 충북도의회 의원은 "인터넷 설치기사가 숨진 이유는 충주시의 열악한 의료환경 탓"이라며 "비극적인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충주지역의 의료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타 시·도의 일부 병원들은 오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운영되는 3기 상급 종합병원 지정을 위해 기준에 맞춰 개·보수하거나 기존 상급종합병원 타이틀을 지키기 위해 총력을 다했었다.

그러나 충북의 경우 상황이 다르다. 오히려 상급종합병원 신청을 꺼리는 분위기다.

지난 2015년 메르스 사태 이후 상급종합병원의 역할이 커지면서 복지부가 상급종합병원 지정 기준을 강화했기 때문이다.

복지부는 지난 2월 감염관리 능력 및 의료 서비스 질 등을 강화하기 위해 평가 기준에 음압격리병실 유무와 성인·소아 및 신생아중환자실 설치, 중앙·권역 또는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정 등 일부 항목을 강화했다.

종합병원들은 강화된 기준에 맞추기 위해 거액의 돈을 투자해 개·보수를 해야만 신청 자격이 주어진다. 결국, 돈이 없어 투자를 못 하는 셈이다.

20개 이상 전문과목 등 기본 요건을 맞추기 어려울뿐더러 의료진 인력이 부족한 것도 도내 종합병원이 상급종합병원 신청을 꺼리는 이유다.

중증환자 수술이 많은 상급 종합병원 특성상 여기에서 오는 부담감도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도내 한 의료계 관계자는 "종합병원 입장에서 상급종합병원 지정을 위한 개·보수, 의료진 확보, 중증환자 수술 등이 부담스러울 것"이라며 "예견된 결과였지만, 1곳도 신규 신청을 하지 않은 것은 도민들에게 아쉬운 소식"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화상전문병원 등 일부 전문병원에 충북에 생기고 있으나 여전히 지역별 의료서비스 편차가 심각하다"며 "적어도 북부권·남부권 등에 상급종합병원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