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내에서 청주·충주·음성·진천·증평 인구증가, 나머지는 감소추세
‘영충호’ 아직 유효···충청권 호남권보다 18만여명 더 많아, 격차 점점 심화

▲ 충북의 남부권을 비롯한 지역이 인구소멸위험단계에 접어들었다. 향후 지자체가 없어질 수도 있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특단의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사진은 사람을 만나기 어려운 보은군 탄부면의 한 마을.

충북도내 지자체마다 인구수 증감 현황에 바짝 신경을 쓰고 있다. 대한민국이 저출산·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어 아기 울음소리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데다 사망으로 인한 자연감소는 늘어 전체적으로 인구 감소지역이 많다. 충북도가 지난 8월 말 기준으로 내놓은 통계에 따르면 충북보다 인구가 적은 광역지자체는 광주·대전·울산·세종·강원·제주도가 있다. 주민등록상 충북 인구는 158만8025명. 등록 외국인수를 합치면 162만여명이 되지만 주민등록 인구를 공식 통계로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

충북도내에서 인구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곳은 청주·충주·음성·진천·증평군 정도이다. 청주시는 전국 합계출산율 1.24명에 비해 1.44명으로 약간 높은 편이다. 혁신도시로 지정된 음성·진천군에는 여러 공기업들이 내려와 있고 인근 공업단지에 크고 작은 기업들이 2000여개에 달한다. 지난 9월 말 현재 시·군별 출생아·사망자수를 비교하니 이와 딱 맞아 떨어졌다. 출생아수에서 사망자수를 뺐을 때 청주·충주·음성·진천·증평만 플러스이고 나머지는 모두 마이너스였다. 무려 옥천은 지난 9월에 사망자가 32명, 괴산은 29명이나 더 많았다.
 

청주시는 84만여명으로 조금씩 늘고 있는데 반해 충주시는 20만8183명으로 집계됐다. 충주시는 자칫하다가는 20만명 선이 무너질 가능성도 있다. 청주시는 청원군과 통합하면서 충북전체 인구 절반을 상회하나 제2의 도시라 할 수 있는 충주시는 소폭 증감을 반복하면서 25만명 선에도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10~20만명대는 제천시가 유일하고 그 뒤를 음성군과 진천군이 잇고 있다. 음성군은 등록 외국인까지 합치면 10만명을 상회하나 주민등록 인구만으로는 9만7000여명이다. 외국인이 5만여명에 달하는 진천군도 외국인까지 합치면 7만4000여명이나 주민등록 인구는 6만9000여명이다. 이어 옥천·영동군이 5만여명, 괴산·증평·보은·단양군이 3만여명으로 나타났다.
 

괴산군 가장 큰 폭으로 인구 감소

증평군이 괴산군에서 독립한 것은 2003년. 그런데 독립 직전 증평군이 3만1519명, 괴산군이 4만722명 이었다. 증평군은 그 때보다 5633명 증가했으나 괴산군은 대폭 줄었다. 괴산군은 전국 장수지역으로 손꼽히고 있으나 출산율 저하와 도시로 나가는 인구 때문에 존립자체가 흔들리고 있다.
 

인구가 적은 지역은 이래저래 서럽다. 단양교육지원청은 한 때 통폐합 대상 지역에 올랐다. 교육부는 지난 6월 1일 교육청의 효율적인 조직 운영을 위해 ‘소규모 교육청 조직 효율화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전국 176개 교육청 중 25개 교육청이 통폐합 대상 지역에 포함됐다. 충북은 보은군과 단양군 교육지원청이 해당됐다. 2016년 4월 1일을 기준으로 3년 연속 인구수 3만명, 학생수 3000명 미만인 경우가 기준으로 제시됐다.
 

보은군과 단양군 인구는 3만명이 넘었으나 학생수가 이에 미치지 못한다고 해서 이런 말이 나왔다. 그러나 강제로 통폐합 하는 것이 아니고 자진해서 하면 인센티브를 주겠다는 것이었는데 아무데도 신청하지 않았다는 게 충북도교육청 관계자 말이다. 그는 “희망지역이 없어 유야무야됐다. 교육을 규모의 논리로만 따지는 건 문제가 있다는 게 전반적인 여론이었다. 더욱이 이 통계를 처음 뽑을 때 유치원생 숫자를 포함하지 않아 다시 했다. 그랬더니 보은교육지원청은 해당되지 않아 빠졌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충북은 지난 2007년 10월 강원도를 추월한 이래 줄곧 따돌리고 있고, ‘영충호 시대’를 견인하고 있는 게 희망적이라는 것이다. 김영배 충북도 자치행정과 행정팀장은 “2013년 5월 충청권 인구 525만136명이 호남권 524만9728명을 408명 추월해 ‘영충호’라는 단어가 생겼다. 이후 충청권과 호남권 인구가 더 벌어지고 있다. 올 8월말 기준으로 충청권이 542만6968명, 호남권이 524만547명으로 18만6421명 차이가 난다. 그리고 2007년 10월 강원도를 처음으로 161명 앞지른 이후 올 8월말 기준으로 3만9181명 추월했다. 저출산 고령화로 전국에 비상이 걸렸지만 광역지자체끼리 비교해보면 충북에 희망이 있다”고 말했다.

헉, 괴산·보은·단양·영동·옥천군 인구감소 ‘빨간불’
황영철 의원 발표, 채성주 연구위원 연구···‘인구소멸위험단계’ 진입

 

황영철 새누리당 국회의원(홍천·철원·화천·양구·인제)은 지난 9월 20일 저출산·고령화 심화로 여러 지역이 소멸될 위기에 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황 의원은 여기서 ‘지방소멸’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이는 일본창성회의 의장인 마스다 히로야가 자신의 저서 ‘지방소멸’에서 처음 도입한 개념. 그는 가임기 젊은 여성인구가 현재와 같은 속도로 대도시권으로 이주할 경우 향후 30년내에 일본 지자체 절반인 896개가 소멸될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다.

황 의원은 “한국고용정보원 이상호 박사가 이런 접근법에 착안해 가임기 20~39세 여성인구를 65세 이상 고령인구로 나눈 값을 가지고 우리나라 지방소멸 위험지수를 만들었다. 산출값이 1.0 이하이면 인구쇠퇴 주의, 0.5 이하이면 인구소멸 위험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에 따르면 충북은 2014년부터 올해까지 3년 동안 인구소멸위험단계 지자체 수가 5곳으로 동일했다. 괴산군(소멸위험지수 0.22)과 보은군(0.24), 단양군(0.29), 영동군(0.30), 옥천군(0.34) 등이다. 이 지역들은 2014년부터 이미 위험단계에 진입해 있던 상태였다.
 

전국적으로는 2014년 인구소멸 위험단계 지자체가 79곳이었으나 올해 7월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84곳으로 늘었다. 황 의원은 “이번 조사에서 부산 영도구와 동구가 처음으로 소멸위험지역에 진입했다. 지방소멸 문제가 더 이상 농어촌 낙후지역만이 아니라 지방 대도시로 확산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가임기 여성이 지역에 정착해 출산율을 높일 수 있는 국가정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충북연구원 채성주 연구위원 등 연구자들은 지난해 6월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선순환 지역발전 전략’에서 1995~2014년간 시·군 연령별 인구비중을 2013년까지 예측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괴산은 2017년, 보은 2019년, 단양 2022년, 영동 2024년, 옥천 2027년, 제천은 2031년 지속가능 곤란 지자체가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특히 보은·괴산은  2033년에 지속가능 위험 지자체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한 특단의 대책이 요구된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