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초고령 사회 치매 예방치료 인력, 예산 확충 시급

9월 21일은 ‘치매극복의 날’이다. 이렇게 날을 지정할 만큼 노령화에 따른 치매 증가는 국가적, 지역적 현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제천시에 따르면 8월 기준 65세 이상 노령 인구는 2만 3938명으로 전체의 17.6%에 달한다. 이미 노령화를 넘어 노령사회에 접어든 것이다.

단양군은 더욱 심각하다. 노령 인구 비율이 전체의 25.8%인 7901명에 달해 초노령사회에 진입한 지 오래다. 총인구 중 만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7% 이상 14% 미만이면 노령화 사회, 14% 이상 20% 미만이면 노령사회, 20% 이상이면 초노령사회로 분류된다.

치매는 노령과 초노령사회에 접어들었을 뿐 아니라 노령화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는 두 지역 입장에서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문제인 셈이다.

제천시보건소에 따르면 2010년에 1781명이던 치매인구는 2016년 9월 현재 2386명까지 급증했다. 이 같은 추세대로라면 2020년에는 2600여명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단양군의 치매 인구도 현재 293명에 달한다.

더 큰 문제는 치매가 고령인구 비율이 높은 농촌지역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지만, 치매 관리 수준은 도시보다 농촌이 크게 열악하다는 점이다.

실제로 농촌지역은 인적이 드문데다 폐쇄회로(CC-TV)마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치매환자가 실종할 경우 조기 발견에 어려움이 큰 실정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적용된 이후 치매노인들에게 추적장치가 달린 배회 감지기를 보급하고 있지만, 전체의 1~3%만 혜택을 받고 있다. 정부의 농촌 고령자 공동시설 지원사업은 올해부터 지자체 사업으로 전환돼 많은 지자체들이 예산 확보의 어려움으로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치매를 관장할 전담인력을 확충하는 등 사전 예방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세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유용식 교수는 “치매환자는 사후 치료가 매우 어렵고 지원에도 한계가 따르는 만큼 예방교육과 홍보, 인지재활 프로그램과 같은 사전 예방에 정책적 방향을 맞춰야 한다”며 “특히 2인 또는 독거노인 비율이 높은 농촌지역은 보건진료소와 같은 공공 의료 기관의 관찰 및 예방 기능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