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옥균 경제부 차장

▲ 오옥균 경제부 차장

서민금융기관을 표방하는 새마을금고와 신협, 이들은 정말 서민금융일까. 서문금융의 사전적 의미는 소득이 적은 시민에게 소비 자금이나 주택 마련 자금을 융통해 주는 곳을 의미한다. 소규모지만 시중은행보다 문턱을 낮춰 서민들의 경제활동을 돕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그런데 실상은 이용자의 문턱이 낮은 게 아니라 이사장을 비롯한 임원들의 문턱만 낮은 모습이다.

새마을금고 이사장은 평균 7000만원 이상의 연봉을 받는다. 여기에 업무추진비 또는 판공비 명목으로 많게는 수천만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마저도 보수적으로 산정한 수치다.

신협도 마찬가지다. 2001년 상임이사장 제도가 등장하면서 수천만원의 연봉을 받게 됐다. 최근 이사장을 해임한 남청주신협은 순수연봉만 1억원이상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10% 성과급까지 포함 지난해에 1억 2000만원을 수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당수의 새마을금고와 신협 이사장이 정년퇴직한 60세 이상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사장이라는 직함과 수천만원의 연봉은 충분히 매력적이다.

반면 이용자의 입장에서는 예전보다 문턱이 낮아졌다기 보단 시중은행에 비슷해졌다는 표현이 더 적절할 것이다.

지금보다 자산 등 규모가 작았던 과거 새마을금고와 신협 이사장의 역할은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해 회원 또는 조합원을 유치하고 대출을 유치하는 등에 집중됐다. 그렇다보니 정치인을 비롯해 소위 지역에서 ‘방귀 좀 뀐다’는 인사들이 필요했다.

하지만 개별 금고나 조합의 자산규모가 1000억원을 넘고 2000억원도 넘어선 지금은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항해를 책임질 선장이 필요해졌다.

자산규모가 커지면서 고액 대출도 증가하고 있다. 일부 금고와 신협이 부실대출로 파산절차를 밟고 있다는 뉴스도 심심치 않게 들린다. 선장이 부실대출 암초를 구분할 능력도 피해갈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사실상 그런 류의 사고는 대부분 선장이 자초한다.

업계 관계자들은 전문성을 갖춘 이사장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문제는 제도다. 새마을금고는 100명 안팎의 대의원이 이사장 선출을 좌우하며, 이사장이 그들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대의원의 신뢰를 얻은 이사장은 재선이고 삼선이고 문제없다.

신협선거는 직선제지만 투표율이 저조하다는 맹점을 가지고 있다. 대개 10%를 넘지 않는다. 조합원들은 이사장 교체에 따른 효과를 크게 체감하지 못하기 때문에 관심도 적은 것이다. 결국 후보들의 유권자 동원능력에 의해 선거의 승리는 좌우된다. 새마을금고나 신협 모두 제도와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그래도 신협은 직선제를 시행하고 있어 새마을금고보다는 개혁적인 모습을 보인다. 새마을금고 회원들이 신협을 부러워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회원제(직선제)도 선택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현실의 벽은 높다. 그 또한 이사장의 뜻이 좌우하기 때문이다. 결국 중앙회 차원의 제도 개선이 선행돼야 개별 금고도 지금보다 민주적이고 투명하게 운영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