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시 읽기

설날 아침에
김 종 길

매양 추위 속에
해는 가고 또 오는 거지만

새해는 그런대로 따스하게 맞을 일이다.

얼음장 밑에서도 고기가 숨쉬고
파릇한 미나리 싹이
봄날을 꿈꾸듯

새해는 참고
꿈도 좀 가지고 맞을 일이다.

오늘 아침
따뜻한 한 잔 술과
한 그릇의 국을 앞에 하였거든

그것만으로도 푸지고
고마운 것이라 생각하라.

세상은
험난하고 각박하다지만
그러나 세상은 살 만한 곳

한 살 나이를 더한 만큼
좀 더 착하고 슬기로울 것을 생각하라.

아무리 매운 추위 속에                
한 해가 가고                         
또 올지라도
                                     
어린 것들 잇몸에 돋아나는
고운 이빨을 보듯

새해는 그렇게 맞을 일이다.
- 시집 ‘성탄제’ (1969)

<허장무 글·이은정 그림>

우리는 가끔 현실을 벗어나 새로워지고 싶은 날이 있습니다. 송구영신(送舊迎新),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이맘때쯤이 아마 새로운 자신을 향한 열망이 가장 강렬하게 용솟음치는 때가 아닌가 합니다. 새롭게 해가 바뀐다는 것은 늘 그게 그날이었던 우리 필부필부(匹夫匹婦)들에게 가슴 설레는 일이 아닐 수 없지요. 그래도 무언가 희망을 가지고 새해에는 인생을 풀레이 어게인 할 수 있다는 벅찬 가능성 때문에 새로움을 향한 비젼으로 몸도 마음도 순치되고 고양되는 것입니다.

이 시는 누구에게나 쉽게 다가서는 말로 새해 아침에 꿈을 가지고 한해를 맞이하고, 따뜻하고 긍정적인 생각으로 착하고 슬기롭게 한 살 나이를 더하자고 말합니다.

너나없이 삶은 어렵고 생활은 나에게 상처를 주지만 묵은해는 어김없이 가고 새해가 밝아옵니다. 그러므로 끄덕이며 끄덕이며 세상과 자아를 긍정하고 사랑하는 일이야말로 좋은 날을 살아가게 되는 가치 있는 삶의 자세지요. 골짜기가 있어야 봉우리가 있는 것처럼 절망 없는 희망은 없습니다. 그래서 참다운 삶은 항용 시련이라는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것이지요. 좋은 활은 당기기 힘들고, 무거운 소가 깊은 발자국을 남깁니다. 엄동을 뚫고 올라와 봄날을 꿈꾸는 파릇한 미나리 싹처럼, 어린 것들의 잇몸에 돋아나는 고운 이빨처럼 새해는 희망을 가지고 힘차게 맞을 일입니다.

새해 아침은 누구에게나 꿈꿀 권리가 있습니다. 새해 아침은 낡은 관습과 인식을 깨우고 싶은 순간이며, 스스로의 힘으로 새로운 삶의 여정을 창조하는 몸짓이지요. 그렇게 맞이하는 새로운 날의 여명은 아름다울 수밖에 없습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