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젊었을 때 정말 열심히 일했습니다. 그 결과 나는 실력을 인정받았고 존경받았습니다. 그 덕에 65세 때 당당한 은퇴를 할 수 있었죠. 그런 내가 30년 후인 95살 생일 때 얼마나 후회의 눈물을 흘렸는지 모릅니다./내 65년의 생애는 자랑스럽고 떳떳했지만, 이후 30년의 삶은 부끄럽고 후회되고 비통한 삶이었습니다./나는 퇴직 후 ‘이제 다 살았다, 남은 인생은 그냥 덤’이라는 생각으로 그저 고통 없이 죽기만을 기다렸습니다./덧없고 희망이 없는 삶, 그런 삶을 무려 30년이나 살았습니다. 30년의 세월은 지금 내 나이 95세로 보면, 3분의 1에 해당하는 기나긴 시간입니다./만일 내가 퇴직할 때 앞으로 30년을 더 살 수 있다고 생각했다면 난 정말 그렇게 살지는 않았을 것입니다./그때 내 스스로 늙었다고, 뭔가를 새로 시작하기엔 너무 늦었다고 생각했던 것이 큰 잘못이었습니다./나는 지금 95살이지만 정신이 또렷합니다. 앞으로 10년, 20년을 더 살지 모릅니다./이제 나는 하고 싶었던 어학(語學)공부를 시작하려 합니다. 그 이유는 단 한 가지, 10년 후 맞이하게 될 105번째 생일 날 95살 때 왜 아무것도 시작하지 않았는지 후회하지 않기 위해서입니다.”>(후회하지 않기 위해 -어느 95세 노인의 회고-)

지금은 국민 모두의 평생학습시대다. 새로움을 배워 내 지식과 기술 등을 살찌우고 남도 도우며 살아가는 배움-나눔의 시대가 전개되고 있다. 변화무쌍한 시대를 슬기롭게 살아가려면 한평생 끊임없이 배워나가는 학습의 자세가 요구되는 세상에 살고 있는 것이다. 평생학습의 개념은 다의적이나 그 일반적인 의미는 가정. 학교. 직장. 매스미디어. 그 밖의 어떤 장소. 어떤 방법에 의해서나, 모든 교육자원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는 개인적 집단적 학습활동 전체를 말한다. 이는 교육의 중심을 학습자 자신에게 두고 (이에 비해 평생교육은 교육을 시키는 측에 중점을 둔다),학습자 스스로 일생 동안 지식. 기술. 태도 등을 개발하는 모든 활동을 포함하고 있다.

21세기 ‘거대한 폭풍’ 노령화 사회는 준비(학습 등)하는 자만이 보람차게 극복할 수 있다. 개인의 자아를 새롭게 실현하고,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자원화 등을 북돋울 수 있는 노인들의 평생학습 참여 동기로 학자들은 대략 3가지 유형을 예시하고 있다.

첫째 유형은, 목표지향적 학습자(goal-oriented learner)이다. 일정한 목적을 설정하고 그를 달성하기 위해 학습하는 사람들이다. 둘째 유형은, 활동지향적 학습자(activity-oriented learner)이다. 특정한 목적을 세우기보다 일상적인 사회활동 과정에서 학습에 흥미를 느껴 배우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반복되는 생활에서 탈피, 새로운 삶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학습에 참여하고 있다.

세 번째 유형은, 학습지향적 학습자(learning-oriented learner)이다. 지식 자체를 추구하는 학습자들이다. 학습을 통해 지식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자아를 다시 한 번 성장시켜 가는 고령층이다. 이들은 젊은층에 비해 신체 기능이 다소 떨어지지만 그렇다고 노인들의 학습능력을 아예 무시하는 것은 지나친 편견이다. 오늘의 60~70대 고령층은 옛날 노인들에 비해 훨씬 건강하고, 경험과 지식에 현대적인 컴퓨터와 인터넷 지식이 가미되어 충분한 학습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