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가스 요금보다 10% 저렴하지만… 열공급 사업 확대 인색
서울, 벙커C유 1980년 폐쇄…청주, 교체빌미 발전용량 8배증설

침묵의 살인자, 미세먼지

ⓛ 배출농도 5년 1위 청주시
② 증가하는 호흡기질환
③ 잘못된 도시설계와 분지지형
애물단지 화력발전소
⑤ 대중교통과 녹색교통

▲ 벙커C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성화동 한국지역난방공사 발전시설에서 수증기가 대기로 배출되고 있다.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서울화력발전은 1980년 연료로 사용하던 벙커C유를 저유황연료로 교체했다. 하지만 청주는 현재까지도 벙커C유를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 사진 육성준 기자 eyeman@cbinews.co.kr

서울화력발전소는 1930년 지어져 현재까지도 수명이 이어지고 있다. 수도권에 전기를 공급하던 발전소는 계속해서 용량을 늘려갔다. 서울화력발전소 5호기는 1967년 8월 착공에 들어가 1969년 4월 25일 준공됐다. 발전용량은 25만㎾이고 벙커C유를 연료로 사용했다. 하지만 벙커C유가 배출하는 오염물질로 인해 서울화력발전소는 전환설비공사를 실시한다. 그때가 1980년이다.

알려진 대로 벙커C유는 값이 싸고 열량이 높다. 대신 청정연료에 비해 먼지의 경우 54배, 황산화물은 1565배, 질소산화물은 1.2배가 더 배출돼 대기오염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 청주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현재까지 벙커C유를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올초 지역의 따가운 시선을 받던 한국지역난방공사가 돌연 2020년 까지 LNG로 연료를 교체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2020년이라는 교체 시한에 대해 문제를 지적하는 의견도 있었지만 일단은 다행이라는 평가가 우세했다.

하지만 복선이 깔려 있었다. 한국지역난방공사는 연료 교체공사를 하면서 400㎿급 열병합발전소를 추진했다. 현재 가동되고 있는 60㎿급 발전 설비 용량보다 6배나 크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주민들은 반발했다. 성화동 지역난방공사 열병합발전소 인근 주민들은 대책위를 구성하고 발전소 건립 중단을 요구했다. 하지만 한국지역난방공사는 묵묵부답이다.

오경석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발전소 건립으로 청정연료인 LNG 교체 효과가 상당부분 상쇄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질소화합물 등 오염물질이 저감되는 효과는 분명히 있겠지만 용량이 증대되면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증가 등으로 인해 도심 속 유해화학물질로 구성된 미세먼지의 부작용을 증폭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진행하는 핵심 사업이 무엇인지 따져 보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 처장은 “한국지역난방공사는 열을 공급하는 사업자이기도 하지만 전기를 생산해 판매하는 발전 사업의 성격도 매우 크다”고 말했다.

 

수요보다는 수익

오 처장의 지적대로 한국지역난방공사의 핵심사업은 열 공급과 전기 판매다. 공기업이지만 ‘시장형’이라는 단서가 붙는다. 그만큼 수익성이 우선한다.

한국지역난방공사는 1985년 설립됐다. 2011년 기준 납입자본금은 434억 원으로 그중 46.1%는 정부가, 26.1%는 한국전력, 14.0%는 에너지관리공단이, 13.8%는 서울특별시가 보유하고 있다.

수익은 크게 두 가지다. 한국 지역난방공사는 열과 전기를 판매하는 것에서 이윤을 창출한다.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청주를 비롯한 전국 18개 지사가 존재하지만 대부분 수도권에 밀집돼 있다. 호남지역에나 경북지역, 충남지역에는 아직 지사가 없다.

한국지역난방공사 청주지사는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지역 공동주택 단지에 공급한다. 공급 지역으로는 분평지구, 하복대지구, 개신지구, 용암2지구, 가경 4지구, 산남 3지구 인근 지역이다.

현재 설치된 열병합 발전소는 시간 당 105Gcal를 배출하고 61㎿의 전기를 생산한다. 2014년 3월 말 기준으로 총 84km의 열수송관을 갖추고 7만2000호 세대에 열을 공급한다.

공급되는 열 판매 가격은 도시가스에 비해 10% 정도 저렴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런 면에서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용량 증설이 불가피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하지만 막상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열 공급 사업에 대해서는 인색하다거나 비용을 수요자에게 전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청주에는 2013년 7월 용정지구(한라비발디)에 지역난방을 공급한 이후 신규 공공·민간택지 지역난방 공급은 전면 중단됐다. 용정지구 이후에도 율량지구, 가마지구, 호미지구에서 아파트 건설이 이어졌지만 지역난방 아파트는 전혀 없다.

앞으로 개발이 본격화할 동남지구, 방서지구 등 택지 역시 지역난방 공급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지역난방공사 청주지사의 관계자는 지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지금은 지역난방 공급을 원한다고 해도 모두 공급할 수 있는 처지가 아니다"라면서 "생산량과 경제성, 지형 등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공급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공급 비용은 아파트 입주자들에게 돌아가기 때문에 지역민들이 무작정 공급해 달라고 요구만 해서도 안된다"고 밝혔다.

 

벙커C유 교체와 용량증대는 구분돼야

청주지사는 발전소 용량이 증설되면 현재 7만호에서 13만호로 지역난방 공급이 확대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는 논리적 모순을 불러온다. 용량이 6배나 증가하는데 열 공급은 겨우 2배 밖에 늘지 않는다.

바로 이 지점에서 한국지역난방공사가 벙커C유 교체를 빌미로 해 숙원이던 도심 속 발전시설 건립을 맞교환하려 한다는 지적이다.

오경석 처장은 “도심 가까이 있을수록 열공급 선로가 짧고 열손실도 줄어 수익도 늘어난다. 여기에다 숙원이던 발전용량을 대폭 늘릴 수 있으니 일거 양득이다”며 “한국지역난방공사는 전기판매회사라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 처장은 “전기가 지역에서 생산된다고 해도 청주시민에게 돌아오는 혜택은 없다”며 “대한민국에 전기를 독점적으로 공급하는 한국전력이 청주에서 전기를 생산하다고 해서 청주시민에게 전기를 싸게 판매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아 작성되었습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