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곽씨 사위로 들어온 파평 윤씨·전주 최씨 세거지로
여진 정벌 윤관 영당·병자호란 주화파 최명길 묘 자리잡아

권혁상 기자
강민식 청주백제유물전시관 학예연구사

지금은 내수장이 서고 충북선 철도역이 생기며 큰 도회를 이룬 내수읍. 그렇지만 예전에는 비중리 석조삼존불좌상과 낭비성·노고성을 지나 반탄(磻灘)을 건너거나 초평으로 갔다. 지금도 대길리를 지나 북이면 사무소 앞에서 증평IC 앞으로 통하는 옛 길(지방도 511번)이 있다. 아니면 옛 국도를 따라 북이초등학교 앞을 지나 내추리를 거쳐 갈 수도 있다. 이 길에서 청주의 진면목을 만날 수 있다. ‘세종실록’ 지리지를 보면 청주의 토성 13개 성(姓)이 등장한다. 청주를 본관으로 하는 성씨다. 13개 성 가운데 지금도 지역에서 두드러진 성씨는 청주 한씨 정도다. 그런데 고려 때 가장 빈번하게 사서에 보이는 성씨는 바로 청주곽씨다. 이들 청주 곽씨의 발생지가 바로 북이면 내추리이다. 그리고 지금도 득세하는 몇몇 성씨들은 처가 혹은 외가로 들어오며 세거하기 시작했다.

▲ 청주곽씨 세거공원.
▲ 최명길 묘소와 신도비.

청주 곽씨 기념비 기네스 기록 보유

청주 곽씨의 발생지에는 문중에서 자랑하는 대형 기념비를 만들어 놓았다. 비석에 새긴 글자 수로 기네스북에 올랐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하지만 현재 이곳에 살고 있는 청주곽씨는 많지 않다. 일찍부터 인근 지역으로 옮겨가고 지금은 오히려 파평 윤씨의 비중이 높다. 내추리 쟁골 마을로 들어서기 전 기와집이 연이어 있다. 파평 윤씨의 사당인 세덕사(世德祠)와 문숙영당(文肅影堂)이다. 세덕사는 파평 윤씨 입향조인 윤형(尹炯, 1388~1453)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그리고 문숙영당은 호남사(湖南祠)라 하는데, 바로 고려 때 여진 정벌로 유명한 윤관(尹瓘)의 영정을 모신 곳이다. 청주곽씨 13세 곽순(郭恂)의 딸에게 장가 든 윤형이 청주로 오며 파평 윤씨의 청주 세거가 시작되었다. 이후 파평윤씨 후손들은 자연스럽게 자신들의 입향조이며 세조 때 좌익공신에 오른 윤형을 기념하였던 것이다. 윤형·윤관이후 두드러진 인물은 없었던 듯하다. 우리 역사에 이름을 남긴 윤관의 영정을 그려 모신 연유이기도 하다.

오히려 파평 윤씨의 자취는 미원면 옥화리 일대에서 찾을 수 있다. 이들 파평윤씨는 다시 안정라씨와 연안김씨, 그리고 초계변씨로 연이어 혼맥을 이룬다. 앞서 보았던 비중리 석조삼존불좌상의 소유도 초계 변씨 종중이다. 내수읍 비중리 안정라씨와 초계 변씨의 뿌리는 바로 청주 곽씨에 있는 셈이다. 그런데 청주 곽씨는 고려 말 전주 최씨가 청주에 살게 된 터전이 됐다. 8세 곽예(郭預)는 최득평(崔得枰, 1260~1334)을 사위로 맞으며 가까운 대율리에 전주 최씨가 뿌리내리게 되었던 것.

과거 군사정권 시절에는 우리 역사에 대한 극명한 평가를 서슴치 않았다. 무능한 조정과 뛰어난 무장 이순신, 그리고 의병이 그러했고, 직후의 병자호란 때도 마찬가지였다. 특히 병자호란 때는 척화파와 주화파를 떠올리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청에 굴복하지 않았던 김상헌이나 삼학사, 홍익한·윤집·오달제는 충(忠)의 상징이었다. 반면 현실을 직시한 한 인물은 주화파라 하여 마치 매국이라도 한 양 서술되었다.

▲ 호남사와 세덕사.

최명길, 주화파 ‘대의’는 무엇인가

그 주화파의 대표 인물인 최명길(崔明吉, 1586~1647)의 묘가 이곳 대율리에 있다. 불과 몇 해 전 ‘남한산성’이라는 소설을 통해 대중적 명예회복을 거두기도 했다. 한 몸 죽어 절의를 지키는 것은 쉬워도 진정 나라와 백성을 위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했던 그였다. 그리고 그의 손자가 숙종 때의 유명한 영의정 최석정(崔錫鼎, 1646~1715)이다. 당쟁의 혼란 속에서 포용의 정치를 펼친 인물이다.

애초 최석정의 묘는 찾기가 쉽지 않았다. 일체의 석물을 꾸미지 말라는 유언에 따라 제대로 비조차 세우지 못한 까닭이다. 그나마 최근 후손들이 세운 작은 표석으로 묘의 주인을 알 수 있다. 그 뒷면, 그의 학문은 조부 최명길로부터 이어진 양명학(陽明學)의 전통이었다는 글귀. 양명학은 명나라의 유학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성리학 교조주의는 그마저 사문난적(斯文亂賊)으로 몰기 일쑤였다.

▲ 진천 초평 지산서원(芝山書院) 터. 지금은 초평초등학교가 들어서 있다.

독립운동의 산실, 강화학파(江華學派)

양명학은 조선에서 학문으로 발전시킨 정제두(鄭齊斗, 1649~1736)가 살던 곳을 빗대어 강화학, 강화학파라 부른다. 강화도라는 궁벽진 곳을 택했던 당시의 분위기를 엿볼 수 있다. 그의 스승 박세채(朴世采, 1631~1695)와 함께 새로운 세상의 가치를 고민했다. 이 양명학은 우리가 잘 아는 이시영(李時榮) 형제와 이상설(李相卨) 등 독립군 기지의 주축이었던 독립운동가의 정신적 지주이기도 했다.

최석정의 부인은 초평 경주 이씨였다. 이시발의 아들, 좌의정 이경억(李慶億, 1620~1673)의 사위였다. 그리고 일찍이 단종 복위사건으로 목숨을 잃은 금성대군(錦城大君)의 부인이 전주 최씨였다. 그 후손들이 진천 초평과 북이면 용계리에 세거한다. 초평 용기리 수의 마을에 금성대군의 사당이 있는 까닭이다. 미호천의 반탄(磻灘)은 소론의 명문 세 가문을 잇던 물줄기였다.

대율리 대밤이 마을 안쪽 낮은 산자락에 전주 최씨의 묘가 있다. 입향조의 아들인 최재(崔宰)로부터 최명길과 최석정, 그리고 최창대(崔昌大)로 이어지는 명문가의 무덤이다. 이곳은 마을 입구에 그들의 세거를 알리는 표석과 8세 최유경(崔有慶)의 효자각이 방문객을 맞는다. 마을에 들어선 공장이 답사길을 막아선다. 하지만 용케 찾은 최명길의 묘소(충청북도 기념물 68호)와 신도비(충청북도 유형문화재 59호)에서 남한산성의 치욕을 되새긴다. 그리고 다시 최석정 부자의 묘 앞에서 한 시대를 고민했던 옛 사람을 그려본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