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혼예찬/ 김춘길 충북사회복지신문 주필

▲ 충청리뷰 DB

흔히들 ‘내리사랑은 있어도 치사랑은 없다’라고 말한다. 내리사랑은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사랑하는 것으로, 그 대표적인 것은 부모의 한없는 자식사랑이다. 치사랑은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사랑하는 것으로, 자식의 부모 섬김이 그 으뜸일 것이다. 그런데 왜 내리사랑은 있되, 치사랑은 없다는 속언(俗言)이 존재할까?

그것은 대체적으로 보아 내리사랑은 종족 보존 등에 기초한 윗사람(부모)의 본능적 사랑이지만, 치사랑은 아랫사람의 윗사람 모시기가 매우 어려운 현실을 함축하고 있다 하겠다. 어떻든 100세 장수시대에 진입하면서 우리사회는 내리사랑은 ‘산술적’으로 축소되고, 치사랑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들고 있다고 비유할 수 있다.

그렇지만 노부모의 자식에 대한 ‘내리사랑 바탕’은 예나 지금이나 크게 다를 바 없다. 잔여 인생을 고려, 자식에게 재산 물려주기를 더디 하겠다는 고령층이 점차 늘어나고 있지만 자식이 경제적 어려움에 처해 도움을 요청 받으면 아낌없이 재산을 털어 도와주고 싶은 게 부모마음이다. 그런 탓으로 자식의 말을 믿고 사업자금으로 퇴직금을 주었다가 몽땅 날려 빈털터리 신세로 전락, 궁핍한 생활고를 겪고 있는 노부모가 적지 않다. 따라서 100세 시대의 내리사랑도 고령층의 잔여 삶을 위해 이 시대의 화두인 ’적정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

이에 반해 상당수 자녀들은 노부모의 헌신적인 내리사랑에 고마워하면서도 ‘부모처럼 사는 것’을 원치 않고 있다. 이러다보니 자식들이 자신들을 피땀 흘리며 양육해온 노부모의 처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고, 드물게나마 노부모의 헌신적인 생애를 깨달은 일부 자식들은 불효된 자신들의 만각(晩覺)을 다음과 같이 자탄하고 있다.

<“어머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하루 종일 밭에서 죽어라 힘들게 일해도 어머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찬밥 한 덩이로, 대충 부뚜막에 앉아 점심을 때워도 , 어머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한겨울 냇물에서 맨손으로 빨래를 방망이질해도 어머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배부르다, 생각 없다 식구들 다 먹이고 굶어도 어머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중략) 손톱이 깎을 수조차 없이 닳고 문드러져도 어머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중략) 돌아가신 외할머니가 보고 싶으시다고, 외할머니가 보고 싶으시다고/ 그것이 그냥 넋두리인줄로만 알았던 나/ 한밤중 자다 깨어 방구석에서 한없이 소리 죽여 울던 어머니를 본 후.../어머니는 그러면 안 되는 것이었습니다(심순덕)>..

한편, 이제는 자식들의 굴레에서 벗어나 마지막 노년을 자유롭게 살아가고 싶은 노부모의 마음을 ‘아들에게 쓴 어느 어머니의 편지’는 다음과 같이 전하고 있다.

“(전략)아들아! 네가 가정을 이룬 후 에미 애비를 이용하지 말아다오. 평생 너희 행복을 위해 바쳐온 부모다. 이제는 에미 애비가 좀 편안히 살아도 되지 않겠니? 너희 힘든 건 너희들이 알아서 살아다오. 늙은 에미 애비 이제 좀 쉬면서 삶을 마감하게 해다오. 너의 에미 애비도 부족하게 살면서 힘들게 산 인생이다. 그러니 너희 힘든 거 너희들이 헤쳐가다오. 다소 늙은 에미 애비가 너희 기준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그건 살아오면서 미처 따라가지 못한 삶의 시간이란 걸 너희들도 좀 이해해다오. 우리도 여태 너희들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았니?, 너희들도 우리를 조금은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면 안 되겠니? 잔소리 가치관 너희들이 이해되지 않는 부분들, 한귀로 듣고 한귀로 흘리렴..우린 그걸 모른단다. 모르는 게 약이란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