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20만, 제천·음성 10만, 진천 6만, 옥천·영동 5만여명 그쳐
“충주는 원주보다 한참 뒤처져···30만 이상 자족도시 육성해야”

최근 3년간 충북은 꾸준히 인구가 늘고 있다. 지난 2012년은 전년에 비해 1824명 증가하는데 그쳤다. 그러나 2013년에는 9703명, 다음해에는 9428명으로 대폭 증가했다. 그러면서 충청권 인구가 호남권을 앞질러 영남-충청-호남의 시대가 개막됐다는 ‘영충호’라는 단어도 나왔다.

그런데 문제는 다른 광역지자체와 마찬가지로 도시집중 현상이 심각하다는 것이다. 지난해 말 전체 160만9588명 중 통합청주시 인구가 84만1982명으로 52.3%를 차지했다. 청주에 절반 이상이 살고 있는 것이다. 그 다음이 충주 21만2200명으로 13.2%, 제천이 13만8291명으로 8.59%에 불과하다. 충북은 도청소재지인 청주 다음으로 경쟁력있는 30만 이상 도시가 없다. 다른 광역지자체는 도청소재지외에도 30만 이상 도시가 몇 개씩 된다.

▲ 지난해 말 기준 충북인구는 160만9588명이다. 통합청주시 인구가 84만1982명으로 52.3%를 차지했다. 청주에 절반 이상이 살고 있다. 그 다음이 충주 21만2200명, 제천이 13만8291명. 충북은 도청소재지인 청주 다음으로 경쟁력있는 30만 이상 도시가 없다.

충주시는 최근 늘었다 줄었다 소폭 증감을 반복해왔다. 그러다 지난해 말에는 817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주시장을 지낸 이종배 국회의원(새누리·충주)은 “충주시에서 대학 기숙사나 원룸에 거주하는 외지 학생들 주소옮기기 운동을 해왔다. 그 결과물이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리고 제3의 도시인 제천시는 최근 3년간 200~400명씩 계속 줄고 있어 비상이라는 후문이다.

이종배 의원은 “충주시는 충북 제2의 도시이나 25만명을 넘지 못하고 있다. 충주시는 곧잘 강원 원주시와 비교된다. 1986년까지는 충주인구가 원주보다 많았으나 이후 뒤처지기 시작해 지금은 원주가 훨씬 많다. 원주시는 인구가 33만명인데다 국회의원 숫자도 2명이다. 인구가 증가하는 데는 교통여건이 중요한데 충주는 고속도로가 지나가지 않아 내륙의 섬처럼 고립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의원은 “인구에 관한한 청주는 통합으로 완성됐고 이제 다른 도시를 키워야 한다. 30만명이 돼야 자족도시가 될 수 있다. 자족도시가 되면 웬만큼 수준에 오르기 때문에 인구증가가 수월하다. 충북은 도내 도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가 빨리 생겨야 한다. 청주-충주간 고속도로도 하루빨리 신설돼야 한다. 도내 인구가 수도권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도내에서 교류해야 내수시장도 활성화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충북 도내 인구 분포도

2014년 세종시 유출 3461명

충북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음성군이 10만명을 넘어섰고 그 다음으로 진천군이 7만명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이어 옥천군이 5만3000여명, 영동군이 5만1000여명이다. 나머지 괴산·증평·보은·단양군이 3만명대이다. 이 중 괴산군이 39003명으로 잘하면 4만명 선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괴산군은 다행히 최근 3년간 해마다 300여명씩 늘고 있는 추세다. 인구가 가장 적은 단양군은 3만1177명인데 설상가상으로 해마다 200~400명씩 감소하고 있다.

최근 보은·옥천·영동 남부3군의 인구늘리기가 충북도 현안문제로 떠올랐다. 국회의원 선거구를 지키기 위해서는 2483명을 늘려야 한다는 게 충북도 설명이다. 국회에서 선거구획정을 마무리하기 전까지는 어쨌든 인구증가가 화두이다. 도 관계자는 “우선은 지자체, 기관, 기업체, 학교, 복지시설 등에 근무하는 사람들 주민등록옮기기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들은 남부3군에 거주하면서 주민등록이 타지에 있는 사람들이다. 그렇다고 거주를 강제하지는 않는다. 또 한편으로는 기업유치와 귀농·귀촌 유치, 출산장려운동 등을 해오고 있다”고 말했다.

충북도는 오는 6월말까지 보은·옥천군 1000여명, 영동군 360명 증원을 목표로 내걸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일부 공무원들이 실제로는 거주하지 않으면서 위장전입하는 경우가 있다며 우려하고 있다. 도는 법의 테두리 내에서 이 운동을 하는 것이라고 강조하나 혹시라도 탈·불법이 발생하면 안 하느니만 못한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한편 지난해 청주시민 중 세종시로 이전한 사람이 3461명이라는 통계가 있다. 세종시 블랙홀 현상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날개 단 진천·음성, 인구 증가 ‘눈에 띄네’
기업유치 활성화로 아파트 신축 붐···혁신도시 정착하면 더 증가예상

인구에 관한한 가장 신나는 지역은 진천·음성군이다. 최근 3년간 인구추이를 보면 양 지역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 지역들은 출생아수도 다른 지역에 비해 많은 편이다. 한 해 500여명이 태어난다. 인구 9만명 대를 유지하던 음성군은 2012년부터 1000명 이상씩 퍽퍽 늘어 지난해 말 10만명을 넘어섰다. 2014년에는 무려 2800여명이 증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 10만2796명이다. 그리고 진천군도 2013년부터 1000여명씩 늘어 현재 6만9533명으로 나타났다. 올해 안으로 7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양 지역에 인구가 증가한 것은 기업유치가 주효했다는 설명이다. 진천·음성군은 혁신도시로 지정됐으나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 이학재 음성군 부군수는 “음성군은 지난해 1월 인구 10만명 돌파 자축행사를 했다. 대소·삼성면에 기업체가 많이 들어와 있다. 음성군에 입주한 기업체 수가 2000개가 넘는다. 그런데 정주여건이 열악해 청주·충주에서 출퇴근하는 인구가 많다. 그래서 대소·삼성면에 아파트 신축을 준비중에 있다. 혁신도시가 활성화되고, 대소·삼성면 아파트단지에 기업인들이 입주한다면 인구가 더 많이 늘 것”이라고 말했다.

이 부군수는 이어 “음성군은 인구가 골고루 분포돼 있다. 음성읍뿐 아니라 금왕·감곡·대소·삼성·맹동면 인구가 모두 8000명이 넘는다. 면마다 균형발전을 이뤄 희망이 있는 곳이다. 음성군은 앞으로 15만명을 돌파해 음성시로 승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음성군이 음성시로 승격된다면 충북도로서도 시 한 개가 더 생겨 좋은 일일 것이다. 진천군도 혁신도시 지구에 아파트가 없어 정주여건이 좋지 않으나 앞으로 건축할 예정이라고 한다. 그렇게 되면 진천군 인구도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양 지역에는 혁신도시가 건설된 후 수도권에 있던 기관들이 내려왔다. 음성군에는 국가기술표준원·가스안전공사·한국소비자원·고용정보원 등이 입주했고, 진천군에는 정부통신정책연구원이 이전했다.

따라서 진천·음성군의 이런 현상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기업유치가 활성화되면서 젊은층들이 모여드니 출생아수도 상대적으로 많은 것. 남부3군과 좋은 대조를 이루고 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