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7비행단 이전하면 MRO단지 조성 목적으로 시작
충북, 경제자유구역 지정된 후로는 경자청에서 전담

▲ MRO는 영어로 Maintenance Repair & Overhaul의 약자이다. Maintenance(유지), Repair(보수), Overhaul(정비)을 말한다. 항공기 기체나 엔진, 부품 등에 대한 여러가지 정비사업을 총칭한다. 사진은 헬기 정비장면. 사진/육성준 기자

 충북의 항공정비산업(MRO)은 날개를 달 것인가. 지난 19일 국토부의 항공정비산업 육성 지원방안 발표로 충북의 MRO산업이 결실을 맺을 것인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충북도는 “정부지원 방안은 지금까지 충북도와 국토부가 긴밀히 협의한 내용이 상당부분 반영된 것”이라며 반겼다. 앞으로 잘 될 것이라는 얘기다.

MRO는 영어로 Maintenance Repair & Overhaul의 약자이다. Maintenance(유지), Repair(보수), Overhaul(정비)을 말한다. 항공기 기체나 엔진, 부품 등에 대한 여러가지 정비사업을 총칭하는 것이다. 우리말로 항공정비산업이라고 부르면 된다. 청주국제공항을 중심으로 MRO산업이 추진되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수익과 일자리 창출, 공항활성화 등이 이뤄질 전망이다. 국토부는 “동북아 MRO 시장은 연평균 5.4% 성장이 전망된다. 2013년 9조6000억원이었으나 2022년에는 14조2000억원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물론 이러한 액수가 공허한 숫자놀음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과제가 많다. 국토부 지원을 끌어내야 하고, 청주국제공항에 잘 안착되도록 해야 한다. 어쨌든 충북이 10여년 동안 MRO사업을 주창해 왔던 것을 감안하면 좋은 결실을 맺어야 한다.

 국토부의 MRO육성 지원방안 발표로 충북도와 청주시의 얼굴이 펴졌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충북을 저버리고 지난해 12월 23일 경남도·사천시와 MRO사업 추진 MOU를 맺었을 때는 뒷통수를 맞았다는 표정이더니 국토부 발표로 자신감을 한층 얻은 모습이다. 국토부가 제시하는 정부지원방안 내용이 충북에 유리해 성공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게 충북도 설명이다.

충북도는 지난 민선3기 때부터 MRO사업을 추진해왔다. 이 사업은 중앙정부 계획에 의해 사업추진 지역을 선정하는 게 아니다. 충북도가 청주국제공항활성화 차원에서 중앙정부에 건의해 이를 정부가 수용한 드문 형태이다. MRO사업 얘기가 처음 나온 뒤 이렇게 되기까지는 무수한 세월이 흘렀다.

지난 2005년 12월 청주국제공항 여객청사 인근에 LG상사 항공기 정비공장이 들어섰다. 이 곳에서는 헬기와 무인항공기를 정비하고 있다. 당시 미래도시연구원은 국방부 반대를 극복하고 유치하는데 공을 세웠다. 준공식 때 미래도시연구원은 감사패를 받았다. 이 때부터 청주국제공항에 항공정비산업을 일으키자는 의견들이 오갔다.

이후 이원종 지사는 회전익 항공기를 제조하는 통일항공과 항공운송업을 하는 헬리코리아 유치에 심혈을 기울였으나 결실을 맺지 못했다. 이욱 미래도시연구원 사무국장은 “제17비행단이 이전하면 그 자리에 MRO 단지를 만들자고 시작했다. 당시 LG상사 정비공장을 유치하는데 홍재형 전 의원이 큰 역할을 했다. 2005년에는 충북도에서 공항활성화팀을 만들었고, 2007년에는 청주공항 활성화를 목적으로 청주국제공항활성화대책위를 설립했다. 대책위 운영관리는 미래도시연구원에서 맡았다”며 “2009년에는 국방부의 청주공항 MRO 부지 미사일 기지 주둔계획이 드러나 이를 저지하는데 온 힘을 모았다”고 말했다.

이어 민선4기 때는 충북도·공항활성화대책위·청주공항공사가 MRO사업 추진계획을 발표했고, 국토부는 그후 제1차 항공정책기본계획에서 청주공항을 항공정비단지조성지구로 선정한다. 2009년 3월 정부는 청주공항을 운영권 매각대상 공항, 즉 민영화지역으로 선정했으나 이에 대해서는 찬반이 팽팽하게 맞섰다. 현재 청주공항 민영화는 백지화된 상태다. 민영화를 선택하고 국토부 지원을 받아 MRO사업을 추진했어야 했다는 의견과 당시 민영화는 위험했다는 의견으로 나뉜다.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충북도의 MRO사업 추진은 잠시 소강상태를 보였다. 충북도 관계자는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이 늦어지면서 이 문제도 진전이 없었다. 2013년 경제자유구역이 지정된 뒤 다시 MRO 업무가 시작됐다”고 말했다. 현재 충북도와 청주시는 MRO사업을 함께 밀며 끌고 가고 있다. 충북도는 충북경제자유구역청을 통해 모든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민선4기 때 정무부지사로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MRO사업을 추진했던 이승훈 청주시장은 이를 공약1호로 내걸고 해오고 있다. 충북도는 이미 MRO사업에 131억2000만원을 투입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