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경고 받은 청주시…여전히 블랙홀
최대농도 시간당 241㎍/㎥…런던보다 3배


5년의 시간이 주어졌지만 결국 해결하지 못했다. 2009년 환경부는 청주시에 2014년까지 미세먼지농도를 연간 43㎍/㎥ 이하로 개선할 것을 요청했지만 여전히 50㎍/㎥를 초과했다.  당시 개선을 요구한 대상 오염물질은 미세먼지와 질소 산화물이다.

청주시 환경관리본부 관계자도 이를 충족하지 못한 사실을 인정했다. 이 관계자는 “2013년 55㎍/㎥ 였는데 2014년에는 조금 떨어졌다. 하지만 환경부 기준이 워낙 낮다보니 이를 충족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환경 기준치가 50㎍/㎥인데 환경부 요구 가이드라인은 43㎍/㎥으로 낮게 잡았다.  달성하기 어려운 수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청주시는 당장 환경부의 규제 여부를 걱정할 처지에 놓였다. 청주시 관계자는 “환경부가 규제지역을 선정한다고 했지만 바로 제재가 오는 것은 아니다. 대기환경 보전법에 따르면 제재 할 수 있다고 돼 있다”며 “오염원이 정확히 밝혀지지도 않았는데  규제를 하는 것은 부당한 면이 있다”고 말했다.

현재 충북도내에는 청주시 5곳과 충주시 2곳, 제천시 1곳, 단양에 1곳 등 9곳에 미세먼지 자동 측정기기가 설치돼 있다. 충북도보건환경연구원이 운영하는 9곳 이외에도 환경부가 청주시 복대동에 설치한 자동 측정소가 있다.

미세먼지보다 더 위험한 것으로 평가되는 초미세먼지는 아직 측정기기 조차 없다. 다만 환경부가 설치해 운영하는 곳이 2곳 있을 뿐이다.

초미세먼지는 환경기준치 3배

지난 5일, 올해 들어 미세먼지경보제가 시행된 이후 도내에서는 청주시에 처음으로 ‘미세먼지’주의보가 발령됐다. 이미 알려졌듯 청주 미세먼지 농도는 전국에서 제일 높다. 한국 뿐만이 아니라 외국의 주요 도시에 비해서도 월등히 높다.

한국환경관리공단이 대기오염 상태를 공개하는 ‘에어코리아’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한 결과 2013년 세계 주요 도시에 비해서도 월등히 높았다. 청주시는 56㎍/㎥를 기록해 18㎍/㎥를 기록한 런던보다 3배 이상 농도가 짙었다. 인구밀집도가 훨씬 높은 서울도 46㎍/㎥에 불과했다.

계절적으로는 난방 수요가 높아지는 겨울철이 농도가 훨씬 높다. 2013년 도내 미세먼지 농도는 11월을 기준으로 상승해 1월 85㎍/㎥를 기록해 최고치를 보였고 황사 끝무렵인 5월 까지 환경기준치를 초과했다. 장마철에는 7월과 8월에는 30㎍/㎥ 초반대를 기록했다.

난방수요 높은 겨울에 훨씬 높다

이번 겨울에  미세먼지 수치가 높았던 가장 높았던 날은 지난해 12월 30일로 나타났다. 이날 시간대 미세먼지 농도는 오창읍 각리중학교 228 ㎍/㎥, 문화동 충북도청 234㎍/㎥, 용암1동주민센터 234㎍/㎥, 복대동 산단 육거리 241㎍/㎥를 기록했다.

미세먼지 뿐만 아니라 초미세먼지 농도도 경고 수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30일 청주시 송정동에 설치된 초미세먼지측정소의 측정값이 123㎍/㎥를 기록했다. 시간당 환경부 기준치인 50㎍/㎥을 3배나 초과한 것이다.

이 수치는 환경부 미세먼지 경보 기준으로만 보더라도 자동차 운행을 제한해야 할 정도에 해당한다. 이 측정값이 공식적인 측정 농도로 인정받은 것은 아니지만 기준치를 3배나 초과한 대단히 놀라운 수치다.

벙커C유 지역난방公,  2020년에 폐쇄
발등에 불 떨어졌는데 … 효과는 미지수 

전국에서 유일하게 벙커C유를 연료로 사용해 논란을 일으킨 한국지역난방공사(이하 지역난방공사) 청주지사가 기존 설비를 폐쇄하고 액화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새로운 발전 시설을 짓기로 했다.

지역난방공사에 따르면 청주지사의 발전시설을 새로 짓는 방안을 확정하고, 사업 추진을 위해 현재 토지매입팀을 가동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난방공사는 5600억을 들여 새로운 발전시설을 짓고 2018년부터 가동할 방침이다.

또 벙커C유를 사용하는 기존 발전시설은 2020년 까지 사용한다. 하지만 미세먼지 농도가 환경기준치를 초과해 한 시가 급한 상황인데도 2020년이나 돼서야 폐쇄한다는 것은 너무 안이하다는 지적이다. 

모 소각장 관계자는 “벙커C유는 청정연료보다 먼지를 더 배출한다”며 “시민의 건강을 생각한다면 빨리 교체하는 것이 정답이다”고 말했다.

청주시가 미세먼지에 대해 사실상 손을 놓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도내 모 환경단체 관계자는 “청주시가 지난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한 것은 살수차로 도로변 물청소를 한 것 뿐이다”며 “반면에 미세먼지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되는 광역소각시설은 수백억원을 들여 두배로 늘렸다”고 지적했다.

그는 “청주시가 미세먼지에 대해 위기 의식을 가지고 있는지 의문이 들때가 한 두번이 아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