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균 취재1팀 기자

▲ 김남균 취재1팀 기자
“과학의 범주가 아니라 정치사회의 문제였다.” 모 과학자가 한 말이다. 국내에서 몇 안 되는 대기 환경 분야 전문가인 그는 발견된 위험에 대해 있는 그대로 말할수 없다고 고백했다.

그의 말에 따르면 몇 해 전 국책 연구기관 재직당시 정부로 부터 특정 연구 과제를 부여받았다. 과학자로서 그는 있는 그대로 연구 했고 매우 의미 있는 결과를 얻었다. 그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대기 환경 중에서 1급발암물질에 해당하는 물질의 농도가 기준치를 상당히 초과했다. 결과치 대로라면 국민 건강에 매우 안좋은 영향을 끼치는 상태였다.

그는 이런 연구 결과를 해당 부처에 보고 했고 결과를 공개하려고 했다. 하지만 정부부처는 그를 적극 만류했다. 그는 공무원들이 “해결책도 없는데 자료를 공개해서 불안감만 증폭하는 것”이라며 “공개할 경우 불이익을 줄 것이라는 협박성 메시지도 있었다”고 밝혔다.

충북의 미세먼지 농도는 6년 연속 대한민국 최고를 기록했다. 특히 청주시는 5년 전에 환경부 기준치 이하로 대기상황을 개선하라는 지침을 받았지만 이를 해결하지 못했다.

5년 전 환경부 지침대로라면 청주시는 대기오염규제지역이 돼 여러 불이익을 받게 된다. 필자는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했지만 대부분 자신의 생각에 대해 공개하기를 꺼려했다.

모 환경단체 활동가는 “규제가 필요하다고 말하려면 칼 맞을 각오를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필자도 이와 유사한 경험을 여러 번 했다. 발암물질 취재 당시에는 위험을 과장해서 보도한다는 비난도 받았다. 특정지역의 대기 질에 대해 취재할 당시에는 집값 하락 우려를 가지고 있는 주민들로부터 비난의 목소리를 듣기도 했다. 특히 공직사회는 새로운 문제제기에 대해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그들은 제기된 위험이 크지 않다는 논리를 보강하는 자료를 매우 신속하게 제시했다. 필자 경험상 매우 이례적인 조치였다.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 보자. 현재 청주시와 충북도의 미세먼지 수치는 환경 기준치를 초과하고 있다. 또 호흡기질환 발생률, 아토피 유병률, 폐암 발병률과 사망률이 전국 평균치보다도 높다.

하지만 어느 정도의 위험이 있는지, 각각의 데이터가 서로 어떤 연관을 맺고 있는지는 알지 못한다. 이는 충분한 연구 결과가 뒷받침 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그 누구도 자신있게 말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렇다면 이런 상황에서 어떤 이가 우리 사회에 유익할까. 위험에 대한 경고 비상등을 켜는 사람이 필요할까. 아니면 확인되지 않은 불안을 막기 위해 침묵을 선택하는 사람이 유익할까.
호불호에 따라 선택이 다르겠지만 한 가지는 말하고 싶다. 정치와 사회적인 분위기 속에 결국 공개되지 않은 과학자의 연구결과는 남의 동네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 우리가 마시고 있는 공기에 대한 사실이었다.

그는 말했다. “우리 사회는 환경위험에 대한 인내심이 매우 강하다. 경제적인 논리로 또 다른 비용 문제에 환경 이슈는 묻혀버린다. 그리고 이런 결과가 현재 우리가 누리는 환경수준이 된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